야곱의 유언과 죽음(창49: 28~33)
28.이들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라 이와 같이 그들의 아버지가 그들에게 말하고 그들에게 축복하였으니 곧 그들 각 사람의 분량대로 축복하였더라 29.그가 그들에게 명하여 이르되 내가 내 조상들에게로 돌아가리니 나를 헷 사람 에브론의 밭에 있는 굴에 우리 선조와 함께 장사하라 30이 굴은 가나안 땅 마므레 앞 막벨라 밭에 있는 것이라 아브라함이 헷 사람 에브론에게서 밭과 함께 사서 그의 매장지를 삼았으므로 |
31아브라함과 그의 아내 사라가 거기 장사되었고 이삭과 그의 아내 리브가도 거기 장사되었으며 나도 레아를 그 곳에 장사하였노라 32이 밭과 거기 있는 굴은 헷 사람에게서 산 것이니라 33야곱이 아들에게 명하기를 마치고 그 발을 침상에 모으고 숨을 거두니 그의 백성에게로 돌아갔더라 |
서론)
아브라함은 100세에 아들 이삭을 낳았고 이삭은 야곱과 에서를 낳았습니다. 야곱의 별명 은 ‘이스라엘’이었습니다. 이스라엘이라는 말은 “하나님과 겨루어 이겼다”는 의미입니다.
이스라엘일라는 나라의 이름, 민족의 이름이 바로 야곱에게서 온 것입니다. 야곱은 말년에 가나안에 든 기근 때문에 애굽으로 이민을 갔습니다. 아들 요셉이 국무총리였길래 상당한 권력의 혜택을 보았습니다.
야곱의 말년은 풍요로웠습니다. 고세이라 하는 이집트 북부의 초장 지대에서 목축을 하며 자손들이 동서남북으로 번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야곱은 147세에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그이 기운이 진하여 죽었다고 했습니다. 즉 수명이 다했다는 겁니다. 그는 죽기 전 유언을 합니다. 그의 12 아들과 그 후손들이 어찌될까 하는 해답이 그 속에 들어 있었습니다. 야곱은 선지자입니다. 대개 이스라엘의 족장들이 선지자이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역사 를 살펴보면, 야곱의 예언대로 하나님이 행하셨습니다. 예언을 매우 엄숙하게 마친 후, 야곱 이 숨을 거두고 그의 조상들에 게로 돌아갔다고 성경은 창49:에서 증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야곱의 죽음은 매우 복된 죽음이요 하나님의 은혜를 드러내는 죽음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야곱의 죽음이 왜 매우 복된 죽음이며 하나님의 크신 은혜가 포함되어 있는가 하는 점을 네 가지로 나누어 말씀드리길 원합니다.)
본론)
가)첫째, 야곱은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살다가 약속을 사모하며 죽었고 장사되었다.
애굽으로 간 야곱은 가나안에 발생한 기근이 끝나면 곧 바로 가나안으로 돌아가려고 생각했지만 17년 을 거주하게 되다 보니 생전에 가나안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야곱은 아들 요셉의 덕택으로 노년을 애굽에서 풍요로운 삶을 누리며 살면서, 그것이 하나 님의 뜻임을 알았습니다(창46:4). 그리고 야곱은 자신의 죽음이 가까운 줄 알고 요셉에게 ‘내가 조상들과 함께 눕거든 너는 나를 애굽에 나를 장사하지 말고, 시신을 메어다가
가나안 땅에 있는 조상의 묘지에 장사하라’(창47:29,30)고 했습니다.
애굽에서 부귀를 누리는 것 이상으로 시신이라도 때가 되면 돌아가야 할 조상의 땅, 하나님이 주신다 약속하신 가나안을 사모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로 아들 요셉은 아버지의 유언대로 바로 왕의 허락을 받아 그를 애굽에 장사하지 않고 조상 아브라함이 돈을 주고 산 가나안 ‘막벨라 장지’까지 운구하였고, 그 장사행렬에 대한 성경의 기록이 창50:1-14절 말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야곱의 장례는 애굽식으로 한 장례식이었지만 장례 행렬을 본 많은 애굽 사람들과 가나안 사람들 에게 큰 감동을 주었을 것입니다.
나)두 번째로 야곱은 죽기 전에 자녀들을 빠짐없이 축복했습니다.
33절 말씀에서 ‘야곱이 아들에게 명하기를 마치고…… ’라는 말씀은 본문 1~32절까지 열두 아들에 대한 축복을 마쳤다는 의미의 종결부입니다.
임종을 앞둔 야곱은 그의 열두 아들을 예언적 형태로 축복했습니다. 야곱은 아들들의 죄악 과 선행에 따라 각기 저주와 축복을 말했습니다. 하나님의 성령의 감동으로 선지자 야곱의 축복과 저주의 예언은 이스라엘의 미래사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를 드러내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야곱을 통하여 장차 선민 이스라엘의 역사와 도래할 메시야 강림과 구속의 역사의 큰 흐름을 계시하신 것입니다.
야곱이 열두 아들에게 축복한 것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에 대한 예언입니다. 그중에 특별한 것은 하나님께서 미리 계획하신 유다 지파의 왕권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영원한 왕권의 예언입니다. 본문 10절에서 야곱은 “규가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통치자의 지팡이가 그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 기를 실로가 오시기까지 이르리니 그에게 모든 백성이 복종하리로다”라고 했습니다. 유다 지파가 선민 이스라엘을 통치하며 궁극적 으로는 유다의 후손인 예수 그리스도가 오심과 사망과 죄악으로부터의 구속사적인 예언입 니다(8). 여기서 ‘실로’는 “평강을 가져다 주는 자” 라는 뜻입니다. 곧 예수님이십니다.
다)세 번째는 야곱은 자손들을 축복하고 복되게 죽었습니다.
야곱은 먼저 요셉의 두 아들 므낫세와 에브라임의 머리의 손을 얹고 축복했습니다. 그때 야곱의 오른손을 에브라임의 머리 위에 얹고 왼손을 형 므낫세 머리 위에 얹고 아우가 큰 자가 되고 그의 자손이 여러 민족을 이룰 것을 예언했습니다(48:1-22).
그리고 요셉의 두 아들 므낫세와 에브라임을 르우벤과 시므온처럼 내 것(아들)이 될 것이 라(창48:5)고 하며, 그 둘을 양자로 인정하매 훗날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로 인정되게 됩니다.
그로 인하여 훗날, 이스라엘의 열두 아들 중에 레위 자손은 제사장으로 섬기게 하여 12지파에서 제외되고 요셉을 대신 하여 에브라임과 므낫세가 열두지파가 된 것입니다. 시간상 열두 지파가 받은 예언과 축복 은 생략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 하나는 대체로 부모에게 복을 받는 자식이 성공한 다는 것입니다. 부모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고 불효하고 범죄한 자식들을 야곱은 축복하지 않았습니다. 정의를 행하고 자비를 베푸는 자식을 야곱이 더욱 축복하였고 또 역사는 그의 축복이 실제로 성취된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가 불효하고 내가 불의를 행하면 부모나 하나님도 결코 크게 축복하시지 않습니다. 그들의 후손도 괴로움과 패배를 맛보며 살아가게 됩니다. 고로 십계명에서 “부모에게 효도하라’는 말씀은 매우 엄중한 의미를 포함한 말씀이요 계명입니다.
그리고 야곱의 죽음은 ‘침상에 누워서 발을 가지런히 뻗고 그의 삶을 다 마치고 숨을 거두었다’고 했습니다. 요즘 대부분의 임종은 병원에 입원하여 주사 바늘을 주렁 주렁 달고 흰 가운 입은 의사와 간호사들이 지켜보는 가족들도 없이 병실에서 숨을 거두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런데 더욱 행복한 죽음은 가능한한 가족들의 사랑 가운데서 편안히 돌아 가시는 것이 가장 좋은 죽음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그런 면에서 야곱의 죽음은 외롭지 않았습니다. 열두 아들과 손자인 므낫세과 에브라임이 지켜보는 가운데 조용히 눈을 감고 숨을 거두었습니다. 요셉은 숨을 거둔 아버지의 얼굴에 입을 맞추었습니다. 야곱의 죽음은 누구에게도 찾아볼 수 없는 복된 죽음이었습니다. 우리도 야곱처럼 복된 죽음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라)마지막 네 번째로 야곱은 죽음 즉시 그의 백성에게로 돌아갔다 했습니다.
야곱이‘그의 백성에게로 돌아갔더라’는 말씀은 숨을 거두는 즉시 그의 영혼이 육체를 떠나 낙원으로 돌아 갔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남은 그의 육신은 조상들과 함께 장사되 었습니다.
예수님께서 거지 나사로가 죽어 낙원에서 아브라함의 품에 안겨 위로를 받았으나 어리석 은 부자는 죽어 음부에서 고통 중에 있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었습니다(눅16:19-31).
그와 같이 믿음 안에 있는 사람들은 죽음 즉시 그들의 영혼은 낙원에 들어가서 위로를 받지만, 불신자들의 영혼은 음부에 던져져 불꽃 가운데서 고통을 받게 됩니다. 우리가 어떻게 살다가 죽느냐가 중요한 것은 죽음 즉시 낙원으로 들어가느냐 아니면 음부에 던져지는 것 때문입니다.
성경은 종말을 두 가지로 말씀하셨습니다. 개인의 종말과 세상 끝 날의 종말입니다. 개인의 종말은 각자의 죽음입니다. 죽음 즉시 의인은 낙원으로 들어가지만 악인은 음부로 던져져 고통을 받게 됩니다. 종말론적 심판은 인자가 올 때 모든 민족이 보좌에 앉으신 예수님 앞에서 마치 목자가 양과 염소를 구분하듯이 의인과 악인으로 구분하는 최후의 심판입니다.
예수님께서 나사로는 비록 병들고 굶주려 죽었으나 낙원에서 아브라함의 품에 안겨 위로를
받았으며, 부자는 죽어 지옥 불꽃 가운데서 고통을 당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나사로가 죽어 낙원에 들어간 것과 부자가 죽어 음부에 들어간 것은 개개인의 종말에 대한 심판입니다.
우리의 죽음도 행한 대로 심판을 받게 되기 때문에 어떻게 죽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야곱 은 애굽에서 살았음에도 믿음으로 살았기 때문에 그의 죽음 즉시 그의 백성에게로 돌아갔 습니다. 우리도 죄악 된 세상에서 살지만 믿음으로 살면 낙원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물론 야곱은 자기가 130여년의 세월을 살았지만 바로 왕 앞에서는 ‘험악한 세월을 보냈다’
고 (창47:9) 말했습니다. 열두 아들을 낳고 키우는 수고와 생사가 뒤엉키는 세상 속에서 극심한 고통을 피하지 못하고 살았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이 이 죄로 물든 세상의 본질입니다.
그러나 그가 살았을 때 죽음 후에 어디로 갈 것인가를 미리 준비할 수 있음은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야곱은 비록 하나님과의 언약하신 땅 가나안을 떠나 애굽에서 살다가 죽었지만, 하나님 께서 주신 언약의 말씀 가운데 살았습니다.
참고로, 성경은 준비되지 못한 죽음, 저주받은 죽음에 대해서도 여러 말씀으로 증거해 주십니다.
1)유대인의 왕 헤롯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아니함으로 벌레에 먹혀 죽었다고 했습니 다(행12:23). 그가 하나님께 영광 돌리지 않고 살았기 때문이라고 햇습니다.
2)우상숭배의 근원이었던 이스라엘의 아합의 아내 ‘이세벨’은 창밖으로 내던져져서 그의 피가 담과 말에게 튀어 개들이 그의 살을 먹어 두골과 발과 손 외에는 찾을 수가 없었다고 성경은 증거합니다(왕하9:30-37). 3)가룟 유다도 예수를 은전 30냥에 팔고 목매어 자살하였으며 그 시체가 땅에 떨어지며 그 창자가 터져 죽었다고 했습니다. 하나님께 불의한 죄의 대가들을 받았습니다.
결론)
1)오늘 우리에게 어떻게 죽고 어떻게 하나님 나라에 가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의 하나입 니다. 육신의 죽음은 누구나 피하기 어려운 인생들에게 주어진 통과 의례입니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약속과 은혜 안에서 맞이 하는 것입니다. 고로 예수 안에서의 죽음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수 밖의 죽음엔 지옥불과 저주와 절망과 공포뿐입니다.
2)죽음은 자신의 개인 종말이며 심판입니다. 악인처럼 살다가 악인으로 죽게 되는 것은 영원한 저주의 죽음이 됩니다. 성경은 두번째 죽음이 있다고 했습니다. “한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후에는 심판이 있다”(히9:27)고 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지옥 심판입니다.
그래서 요한계시록 20:14=사망과 음부도 불못에 던져지니 이것은 둘째 사망 곧
불못이라-고 했고, 또 계2:11도 “귀 있는 자는 성령이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을지어다 이기는 자는 둘째 사망의 해를 받지 아니하리라”고 했습니다.
요한계시록 21:8도 “그러나 두려워하는 자들과 믿지 아니하는 자들과 흉악한 자들과 살인 자들과 음행하는 자들과 점술가들과 우상 숭배자들과 거짓말하는 모든 자들은 불과 유황으 로 타는 못에 던져지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이라고 했습니다.
첫 육신의 죽음은 끝이 아닙니다. 그후 하나님 앞에서 우리 모두는 천국과 지옥의 심판(백 보좌 심판)이 있고, 그때 예수 없이 산 자들은 죄 때문네 영원히 꺼지지 않는 지옥 불못에 떨궈지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과 예수 안에서의 죽음은 새로운 천국 삶의 시작입니다. 비록 실패하고 병들고 헐벗고 가난하게 험악한 세상을 살았을지라도 야곱처럼 복된 죽음이 되어 낙원에서 들어가서 안식하며 평강과 희락을 누리며 살 줄 굳게 믿으시길 바랍니다. 아멘!
011425 안익선 목사. 참조: 허창수 목사
'설교모음(Korean serm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내에 대한 교훈 (약5:7-11) (0) | 2025.02.23 |
---|---|
좁은 문 좁은 길로 가자 (마태복음 7: 13 – 18) (1) | 2025.02.23 |
새 사람을 입으라 (엡 4:17-24) (0) | 2025.01.16 |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다(빌 3:17-21) (신년 감사 예배) (1) | 2025.01.16 |
참된 믿음이란 무엇인가?(히11:1-6) (1)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