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마엘은 낳지 말자(창세기 16:1~16)
1. |
||||||
2. |
사래가 아브람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내 출산을 허락하지 아니하셨으니 원하건대 내 여종에게 들어가라 내가 혹 그로 말미암아 자녀를 얻을까 하노라 하매 아브람이 사래의 말을 들으니라 |
|||||
3. |
아브람의 아내 사래가 그 여종 애굽 사람 하갈을 데려다가 그 남편 아브람에게 첩으로 준 때는 아브람이 가나안 땅에 거주한 지 십 년 후였더라 |
|||||
4. |
||||||
5. |
사래가 아브람에게 이르되 내가 받는 모욕은 당신이 받아야 옳도다 내가 나의 여종을 당신의 품에 두었거늘 그가 자기의 임신함을 알고 나를 멸시하니 당신과 나 사이에 여호와께서 판단하시기를 원하노라 |
|||||
6. |
아브람이 사래에게 이르되 당신의 여종은 당신의 수중에 있으니 당신의 눈에 좋을 대로 그에게 행하라 하매 사래가 하갈을 학대하였더니 하갈이 사래 앞에서 도망하였더라 |
|||||
7. |
||||||
8. |
이르되 사래의 여종 하갈아 네가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가느냐 그가 이르되 나는 내 여주인 사래를 피하여 도망하나이다 |
|||||
9. |
||||||
10. |
여호와의 사자가 또 그에게 이르되 내가 네 씨를 크게 번성하여 그 수가 많아 셀 수 없게 하리라 |
|||||
11. |
여호와의 사자가 또 그에게 이르되 네가 임신하였은즉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이스마엘이라 하라 이는 여호와께서 네 고통을 들으셨음이니라 |
|||||
12. |
그가 사람 중에 들나귀 같이 되리니 그의 손이 모든 사람을 치겠고 모든 사람의 손이 그를 칠지며 그가 모든 형제와 대항해서 살리라 하니라 |
|||||
13. |
하갈이 자기에게 이르신 여호와의 이름을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이라 하였으니 이는 내가 어떻게 여기서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을 뵈었는고 함이라 |
|||||
14. |
||||||
15. |
||||||
16. |
||||||
서론)
예부터 지금까지의 중동 지방의 끝없는 분쟁은... 자식이 없었던 아브라함이 여종 하갈을 취해서 이스마엘을 얻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아브라함과 사라 부부의 하찮아 보이던 실수가 오늘 인류 역사에 이렇게 큰 비극을 불러온 것입니다.
아브라함이 하갈을 통해 아들을 낳은 이 사건은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고 있습니까? 우리는 우리의 불신앙과 욕심 때문에, 야망 때문에, 혹은 참지 못하는 기질 때문에 얼마나 많은 이스마엘을 낳으면서 살아오고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본론)
가) 하나님께서는 원래 이스마엘을 원하신 적이 없습니다.
사실 80 중반 까지 자식이 전혀 없었던 아브라함이 첫아들 이스마엘을 86세에 얻었을 때... 아브라함은 너무도 기뻐했습니다. 아이는 참으로 사랑스럽게 잘 자랐습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하갈과 이스마엘은 그 본성을 드러냈습니다. 사실 사라의 속을 뒤집은 것은 그 이전이었습니다. 하갈이 임신하자 그 여주인이던 사라를 무시하고 깔보고 함부로 대하기 시작했습니다.
본문 3~6절을 다시 봅니다.
3. |
아브람의 아내 사래가 그 여종 애굽 사람 하갈을 데려다가 그 남편 아브람에게 첩으로 준 때는 아브람이 가나안 땅에 거주한 지 십 년 후였더라 |
4. |
5. |
사래가 아브람에게 이르되 내가 받는 모욕은 당신이 받아야 옳도다 내가 나의 여종을 당신의 품에 두었거늘 그가 자기의 임신함을 알고 나를 멸시하니 당신과 나 사이에 여호와께서 판단하시기를 원하노라 |
6. |
아브람이 사래에게 이르되 당신의 여종은 당신의 수중에 있으니 당신의 눈에 좋을 대로 그에게 행하라 하매 사래가 하갈을 학대하였더니 하갈이 사래 앞에서 도망하였더라-고 했죠? |
사람은 항상 자신이 올챙이 시절이 있었음을 생각해야 겸손할 수 있는 것이죠. 그래야 또 복을 받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미 당시 한번 가출한? 하갈을 설득하셔서 돌려 보내심을 봅니다.
(이미 저질러진 일이지만 아브라함의 씨는 씨이니?) 그러나 그런 교만은 이스마엘에게서도 또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한 동안 잠잠했던 아브라함의 가정에 분란이 다시 일어납니다.
먼저는 사래와 하갈
사이에 분란을 가져왔습니다. 이삭이 태어난 후엔 이스마엘이 여주인의 아들 이삭을 희롱했습니다(21:9). 이스마엘은 가정의 평화를 깨뜨리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약속의 아들이 약속과 무관한 아들에게 핍박당하고 희롱 당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지금도 유대인들은 이스마엘의 후손인 중동사람들에게 숱한 고통 주고 받고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이스마엘을 낳아서 기뻐했던 날들은 십여 년에 불과했고 그 후로는 세계 역사에 두고두고 화근이 되었습니다. 아브라함은
낳지 말아야 할 아들을 낳았던 것입니다.
영적으로 이스마엘은 불신앙으로 얻은 모든 것들을 총칭합니다. 하나님의 마음을 근심케 하면서 얻은 것들, 하나님의 계명을 어겨가면서 얻은 것들, 기다려야 하는 데도 기다리지 못하고 수단과 방법을 몰라라 하면서 얻은 것들......이라면, 그것이 명예이든, 물질이든, 사람이든, 어떤 취미생활이든 결국 이스마엘이 됩니다.
구원을 받은 우리는 구원을 받은 하나님의 사람답게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삶의 원칙, 생활의
원칙을 갖고 살아야 합니다. 보인다고 해서 다 얻으려 해서는 안 되고 누가 준다고 해서 다 받으려 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인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인들에게 약속하신 것인가? 그것을 믿음의 눈으로 잘 헤아려 보아야 합니다.
나)동기가 아무리 선해도 믿음이 아니면 안됩니다
아브라함은 어쩌다 이스마엘을 낳았습니까?
사라는 남편을 돕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하갈을 취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아브라함은 사랑하는 아내의 말도 타당하다 여겨 하갈을 취했습니다. 서로가
인간적으로 볼 때는 나쁜 그림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방법이 하나님의 약속에 어긋난 것입니다.
(행전에서도 아나니아와 삽비라도 부부애는 좋았지만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나빴지요?)
우리의 믿음생활에도 보기 좋고 그럴 듯해서 이스마엘을 낳을 수가 있습니다. 큰 예배당을 만들고 성도들의 숫자가 마구 늘어나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은행에 큰 빚을 내면서 무리하게 건축을 하다 그만 교회가 풍자박살 나고 맙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기뻐하시지 않는 방법을 써선 안됩니다. 성경엔 사랑의 빚 외엔 빚지지 말라 하셨지요? 겁 없이 세상 사람들에게 경제적인 빚을 마구 져선 안되는 거에요.
아브라함은 왜 이스마엘을 낳았습니까? 하나님의 능력에 한계를 둔 사람의 말을 듣다가 이스마엘을
낳았습니다. 사라도 하나님의 약속을 처음부터 그리 믿진 않았었습니다.
하나님에 대한 한계적인 믿음, 부분적인 믿음만을 가지게 되었고 아브라함도 그런 한계를 가진
아내의 말을 듣다가 이스마엘을 얻게 된 것입니다.
우리가 이스마엘을 얻게 되는 많은 경우는, 남의 말, 그것도 영적인 문제가 있거나 침체에 빠져있는 사람의 말을 듣다가...... 정말 이삭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이, 대신 이스마엘을 얻으며 잠시 잠깐 동안의 기쁨에 만족해 버리는 경우를 봅니다.
다) 이삭을
바라보며 참고 기다려야 합니다.
아브라함과 사라가
하나님의 약속만을 끝까지 붙잡았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롯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롯은 소돔과 고모라 쪽 땅을 선택했습니다. 그 땅은 약속의 땅이 아닙니다. 그 땅은 잠시 눈에 보이기에는 좋아도
하나님께서 영원히 허락하신 땅이 아닙니다. 그러나 롯은 눈앞의 이익을 위해서 소돔과 고모라를 얻었습니다. 그 땅의 선택은 이스마엘을 낳는 것과 같았습니다.
다시 본문으로 돌아오니다. 결국 아브라함은 가정의 평화를 위해 이스마엘을 멀리 떠나 보내야 했습니다. 이삭만이 하나님의 약속의 선물이었고 유일한 혈통이요, 이스마엘을 통해서 얻어지는 축복은 일시적이요 순간적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정말 좋은 것을 얻으려면, 또 하나님의 약속의 큰 축복을 얻으려면 눈앞의 상황만을 보지
말고, 특히 영적으로 바르지 않게 사는 자들의 말을 듣지 말고, 오직
하나님의 눈으로 모든 것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하나님을 바라보면서 끝까지 인내해야 합니다.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지 않으면 때가 이르매
거둔다고 했습니다.
결론)
우리 육신적인 생각은 너무 성급합니다. 너무 빨리 낙심합니다. 뭐 좀 됐다 하면 쉽게 교만합니다. 그러면 이스마엘을 잘못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약속만을 바라보고 묵묵히 인내하고 사랑하며 살다 보면, 결국 하나님께서는 이삭을 낳는 은혜를 주실 것입니다. 인간적인 방법 쓰지 맙시다. 은혜의 땅에서 쫓겨날 뿐입니다.
금년 남은 12월 한 달, 그리고 새로 오는 2018년엔 믿음의 자녀인 이삭을 낳는 은혜가 여러분과 함께 하시길 축원합니다.
120117 안익선 목사 /참고: 교사의 벗
'설교모음(Korean serm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제15편 강해 (주의 장막에 거할 자) (0) | 2017.12.08 |
---|---|
참으로 두려워할 것 (마 10:28~33) (0) | 2017.12.08 |
감사의 기적 (행16:22-31) (0) | 2017.12.08 |
하란을 떠나자 (창 11:27-12:9) (0) | 2017.12.08 |
기드온과 보리떡 표징 (삿 7:13-14) (0) | 2017.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