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49

고린도후서 10장 강해(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변증)

고린도후서 10장 강해(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변증) 서론) 연보의 문제를 언급한한 바울은 다시 자기 자신에 대한 사도직 변증에 대한 주제로 편지를 써 내려 갑니다. 이유는 바울이 고린도 교회를 떠난 후, 유대교 교리에서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그곳에 흘러 와서 인기나 덕망을 얻은 후, 바울에 사도직을 의심하거나 부인하는 사람들이 제법 많이 생겨 났었기 때문입니다. 고린도후서는 크게 1-9장까지가 전반부이고, 10-13장까지가 후반부에 속합니다. 전반부가 고린도교회를 방문하려했던 계획이 틀어진 것에 대한 해명과 복음이 가진 우월성, 그리고 연보에 대한 조언들로 채워집니다. 그런데 10장부터는 부드럽던 어조가 강력하고 책망조의 분위기로 바뀝니다. 이것은 아직도 그들 가운데 바울을 공격하고 잘못된 가르침에서 돌..

고린도후서 2021.11.19

고린도후서 9장 강해(헌금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

고린도후서 9장 강해(헌금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 서론) 고린도 후서 8장에 이어 9장에서도 헌금에 대한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오늘 주신 말씀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본문의 뜻을 이해하고 본문이 주는 교훈을 찾고 이 교훈을 우리들의 일상 생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겠는지 상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9장의 대지는 둘 로 나뉩니다. [1]연보의 준비성(1-5) [2]연보의 유익(6-15)입니다. 본론) 가)먼저 1절부터 5절까지의 연보의 준비성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겠습니다. 오늘 주신 본문에서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세 사람을 보낸 것은 구제 헌금을 미리 준비 케 하기 위함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고린도 교회는 자원하여 예루살렘 교회를 돕는 모금 운동을 1년 전에 시작하였기 때문에 사도 바울은 이 자..

고린도후서 2021.11.19

고린도후서 8장 강해 (풍성한 연보와 은혜)

고린도후서 8장 강해 (풍성한 연보와 은혜) 서론) 고린도 후서 8장과 9장은 연보 즉 헌금에 관한 교훈의 기록입니다. 고로 고린도 후서 8장과 9장을 통해 성서적인 헌금에 대해 바로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줄 믿습니다. 오늘 본문은 맨 처음 세워진 예루살렘 교회 성도들이 심한 흉년으로 인해 생활이 너무 어렵게 된 사실을 알고, 예루살렘 교회로부터 복음을 전달받은 이방 지역 교회들 중, 마케도니아 지역 교회들이 (자기들의 생활 역시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가난한 예루살렘 교회 성도들을 위해, 자원하여 풍성한 헌금을 모은 사실을 고린도 교회에 소개하면서, 고린도 교회도 마케도니아 교회와 같은 풍성한 헌금을 모아 가난한 형제 교회 인 (엄격히 따지면 모교회이기도 한) 예루살렘 교회에 보내도록..

고린도후서 2021.11.19

고린도후서 7장 강해(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

고린도후서 7장 강해(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 서론) 바울은 고린도 교회 성도들을 진심으로 사랑했습니다. 그는 고린도 교회에서 목회할 때 최선을 다해 성도들을 섬겼습니다. 그는 누구로부터 더러운 이익을 취한 적도 없고, 아무에게도 악을 행한 적이 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 성도들과 함께 동거동락하며 함께 죽고 함께 살기를 사모할 정도로 그들을 사랑했습니다. 물론, 고린도교회의 여러 문제들이 바울의 가슴을 아프게 하고, 그를 불신하고 대적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었으나, 여전히 고린도 교회는 바울에게는 큰 기쁨이고 자랑이었습니다. 바울은 자신의 모든 환난(고린도 교회의 창립과 고린도 교회를 떠난 이후로도 줄곧) 가운데 서도 고린도 교회가 자신에게는 위로가 되었고 기쁨이 되었다고 고백합니다. 비록 자신은..

고린도후서 2021.11.19

사무엘하11장 강해(다윗의 악랄한 죄)

사무엘하11장 강해(다윗의 악랄한 죄) 서론) 사무엘하 11장입니다. 10장 끝에서 우리는 다윗의 왕국이 그 세력의 절정기에 들어섰음을 보았습니다. 하나님께서 주변 사방의 대적들을 정복해 주셨으므로 나라가 강성해 졌지만 바로 이같이 강성했을 때 다윗이 넘어졌음은 우리 모두가 주목할 만한 사실입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라고 경고해 주고 있습니다. 내가 스스로 약함을 느끼고 있을 때, 내가 약하여 내 앞에 가로놓인 상황을 처리할 수 없음을 알고 있을 때, 오히려 나는 주님께 더 의지하게 되기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내가 스스로 약한 존재임을 알고 있는 그때가 바로 내가 강해지는 때요 사도 바울이 말한 것처럼 약한 것을 오히려 자랑할 수 있는 때입니다. 하나님의 ..

사무엘 상하 2021.11.19

사무엘하 10장 강해(은총을 모독한 암만 왕 하눈)

사무엘하 10장 강해(은총을 모독한 암만 왕 하눈) 서론) 사무엘하 9장에서 다윗은 요나단과의 언약을 따라 그 자손에게 은총을 베풀기 위하여 사울의 집에 남은 자를 찾았습니다. 요나단의 아들 하나가 살아 남았는데 양 발을 다 저는 므비보셋입 니다. 다윗이 므비보셋에게 기업과 신분을 회복케 해 주는 은총을 베풉니다. 그리고 10장에선 암만왕 하눈에게도 은총을 베풀고자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말씀은 다윗이 암몬 자손의 왕 나하스의 죽음 소식을 듣고 그 아들 하눈에게 은총을 베풀기 위하여 사절단을 보냅니다. 사울 때에는 암몬과 전투가 있었습니다. 다윗이 왕이 되었던 때는 암몬도 다윗에게 복속이 되었지만 왕권을 상당부분 보존해 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하눈은 이러한 다윗의 은총을 모독하였습니다. 이것이 바로..

사무엘 상하 2021.11.19

사무엘하 9장 강해 (은혜를 베푼 다윗)

사무엘하 9장 강해 (은혜를 베푼 다윗) 서론) 오늘 본문에 보면 다윗이 “요나단으로 말미암아 그 사람에게 은총을 베풀리라(1),하나님의 은총을 베풀고자 하노라.(3)” 라고 한 말씀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총(혹은 은혜)을 받고 하나님의 은총을 깨닫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은총을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게 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총에 관하여서는 호세아서 2장 19절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구약에 약 250번(헤세드) 정도 하나님의 은총에 대하여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총은 신약 성경에는 에베소서 2장1-5절까지 기록되어 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이 세상 풍속을 따라가고 또 마귀를 따라 살면서 자기의 육체의 욕심대로 살아가므로 우리가 본질상 진노의 자녀였으나 긍휼에 풍성하신 하나님의 그 크신 사랑..

사무엘 상하 2021.11.19

사무엘 하 8장 강해(주변국들을 정복한 다윗)

사무엘 하 8장 강해(주변국들을 정복한 다윗) 서론) 하나님께서는 통일된 이스라엘의 힘을 모아 주변의 여러 나라들을 파죽지세로 정복하게 하심으로써 다윗을 이기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다윗이 어디로 가든지 이기게 하셨다 했습니다. 다윗은 이스라엘을 초강대국으로 만들었습니다. 다윗은 인접한 모든 동서남북의 부족국가들을 점령합니다. 다윗이 주변의 나라를 친 것은 유다를 괴롭히는 나라들이었기 때문입니다. 주전 1450년에 여호수아가 가나안 땅을 점령해야 했지만 사사시대까지도 그 일은 완성되진 못하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이스라엘 백성이 농사를 지으면 번번히 곡식을 빼앗아갑니다. 사울왕 시대는 서쪽에 있는 블레셋이 사울을 자주 심히 공격합니다. 골리앗도 블레셋의 장군입니 다. 결국은 블레셋 사람에게 져 사울과 세 아..

사무엘 상하 2021.11.19

하나님도 못하실 일, 세가지 (요일1:6-10)

하나님도 못하실 일, 세가지 (요일1:6-10) 6. 만일 우리가 하나님과 사귐이 있다 하고 어둠에 행하면 거짓말을 하고 진리를 행하지 아니함이거니와 7. 그가 빛 가운데 계신 것 같이 우리도 빛 가운데 행하면 우리가 서로 사귐이 있고 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8. 만일 우리가 죄가 없다고 말하면 스스로 속이고 또 진리가 우리 속에 있지 아니할 것이요 9.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10. 만일 우리가 범죄하지 아니하였다 하면 하나님을 거짓말하는 이로 만드는 것이니 또한 그의 말씀이 우리 속에 있지 아니하니라 서론) 성경은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이시다 라고 했..